민음사5 문명이야기 1-1 - 윌 듀런트 - 왕수민, 한상석 옮김 - 민음사 문명사라는 주제는 역사를 다루는 학문 중 가장 포괄적인 학문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의 저자인 윌 듀런트는 필생의 역작으로서 자신의 생애를 바쳐 모은 문명사에 대한 이야기를 이 책에 모두 담아놓았다. 윤리, 법률, 결혼, 전쟁, 경제, 미술 등 역사라는 수식어를 붙일 수 있는 거의 대부분의 분야에 대해 조사한 그는 수많은 자료조사와 현지 탐방을 통해 책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그의 부인조차도 처음엔 조수로 참여했지만, 중간부터는 공저자로 이름을 올리기 시작했다고 한다. 부부가 한 가지 목표를 향해 함께 걸어갔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부러운 인생을 살았지만, 책 안에 담긴 넓이와 깊이를 가늠하기 힘든 지식의 수준은 분명 인간으로서 존경심을 갖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서는 민음사.. 2022. 4. 30. 파리대왕 - 윌리엄 골딩 - 유종호 옮김 - 민음사 파리대왕은 윌리엄 골딩에서 노벨 문학상을 안겨준 작품이라고 한다. 인간의 야만성은 어떻게 드러나는가? 무인도에 불시착한 소년들에게 주어진 선택권은 많지 않았다. 그들은 구조가 필요했고 생존해야 했으며 규칙이 필요했다. 문명 속에서 자라온 그들에게 시작은 질서 정연했다. 규칙과 절차를 상징하는 소라를 통해 그들은 스스로 발언권을 통제했고 규칙 안에서 생존을 위해 봉화를 피우고 오두막을 지었다. 하지만, 한쪽에서는 원초적인 야만성이 드러나고 있었다. 대장으로 선출되길 원했지만, 랠프에게 밀린 잭은 멧돼지 사냥을 통해 야만성을 조금씩 드러내고 있었다. P.100 마스크는 이제 하나의 독립한 물체였다. 그 배후로 수치감과 자의식에서 해방된 잭이 숨어버린 것이었다. P.290 얼굴을 가리는 색칠이 얼마나 사람의 .. 2022. 4. 2. 뻐꾸기 둥지위로 날아간 새 - 켄 키지 - 민음사 모난 돌이 정 맞는다. 인간의 사회는 예외를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이 소설이 쓰인 이후로 많은 시간이 흘렀고 개인의 권리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늘어감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예외를 인정하기 힘들어한다. 소설 속의 정신병동은 극도로 안정된 사회이다. 안정이란 이름하에 개인은 사라지고 오직 규칙과 복종만이 존재하는 사회이다. 소설 속 화자인 브롬든은 이 정신병원에서도 가장 오래된 환자이다. 그가 정신병원에 적응하기 위해 선택한 방법이란 벙어리이자 귀머거리가 되는 것이다. 들어도 못 들은 척 보아도 못 본척하며 그는 자신을 심연 속으로 가라앉힌 채 그런 방식으로 사회 안에서 존재를 지우고 살아가고 있었다. P.111 우리가 토끼라서 여기에 있는 건 아니에요. 우리는 어디에 있든 토끼 신세를 면치 못할 거예요. .. 2022. 2. 12. 태엽감는 새 연대기 - 무라카미 하루키 - 민음사 태엽 감는 새 연대기는 무라카미 하루키를 세계적인 작가로 발돋움하게 한 작품이라 한다. 작품 해설이나 무라카미 하루키의 연보에는 이 작품을 하루키의 작품세계에 대한 가장 큰 전환점으로 설명한다. 물론 내게는 이런 전환점에 대한 설명은 크게 다가오지 않는다. 지금 읽는 소설에 집중할 뿐이다. 태엽 감는 새라는 특이한 제목은 무엇인가 큰 메타포를 가지고 있을 거라 지레짐작하였지만, 글쎄라는 물음표만을 남긴 채 소설은 끝나고 말았다. 그나마 내가 얻을 수 있었던 의미는 책 속의 인물들이 인생의 어떤 시점에서 태엽 감는 새가 인도하는 데로 흘러갈 수밖에 없었다는 점이랄까? 인생의 어떤 부분은 내 의지가 아닌 인생의 흐름에 이끌려 간다는 것이고 태엽 감는 새의 울음소리는 그 이끌림이 시작됨을 알려주는 징표로서 나.. 2022. 1. 30. 유러피언 드림 - 제러미 리프킨 - 민음사 노무현 대통령께서는 주변 인물들에게 이 책을 강력히 권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이 책을 읽은 후 아주 조금이나마 노무현 대통령이 어떤 미래사회를 꿈꾸었는지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책에서 얘기하는 유러피언 드림이란 무엇일까? 아메리칸드림과의 차이는 무엇일까? 우리가 코리안 드림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 책을 통해 힌트를 얻어야 할 질문들은 이렇게 볼 수 있을 것 같다. 책을 읽어보면 알 수 있겠지만, 아메리칸드림에 대한 설명은 마치 우리나라의 현재 상황이나 대중의 인식과 많이 흡사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우리나라는 해방과 전후 극한의 궁핍함을 극복하기 위해 미국의 원조에 의존하였고 미국방식의 성장모델과 문화 그리고 가치관을 받아들여왔으니 어쩌면 당연하다고 볼 수도 있으리라. 저자가 .. 2021. 10. 31. 이전 1 다음